교고쿠 나츠히코/손안의책
일본소설
★★★★★
전편에 이은 종교, 그 중에서 특히 불교와 종파간의 고찰을 심오하게 다룬 내용이었다. 정신의학서적과 다름없던 광골처럼 철서도 불교서적에 버금가는 장광설로 뒤덮여 있다. 불교 교리라던가, 역사, 십우도 등등은 전편 만큼 읽기 쉬운 것은 아니었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종교는 그걸 접하는 사람의 해석에 달렸다는 것이다. 대체로 장광설은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었지만, 범행 동기를 이해시키기 위한 장치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가나가와 현 하코네에 있는 수수께끼의 사찰 명혜사를 취재하기 위해 희담월보의 아츠코와 이쿠보, 그리고 사진기사 겸으로 참여한 도리구치는 센고쿠로라는 여관에 묵게 된다. 그곳에는 명혜사 승려에게 골동품을 소개받으러 온 이마가와 마사스미와 조시가야 사건(우부메의 여름)이후 은거 중인 구온지 요시치카를 만난다. 새하얀 설경을 앞에 두고 이런저런 얘기가 오가는 와중에 갑자기 정좌를 한 스님의 시체가 여관 정원에 떨어지고, 하코네 산 중의 연속 승려살인사건이 벌어진다.
그 동안 의뢰를 받거나 우연히 사건현장을 목격한 것과는 다르게 우치다 야스오의 아사미 미쓰히코처럼 여행을 갔다가 사건이 일어나는 구성이다. 아츠코 일행 같은 경우 약간 성격이 다르겠지만, 부부동반 여행 겸으로 광골 때처럼 고서 의뢰를 목적으로 하코네를 방문한 세키구치와 교고쿠도라면 확실하다. 전작에 이어서 에노키즈의 계속되는 활약이 돋보이기도 했다. 거칠게 나가는 가나가와 경찰 경부보와의 기싸움을 이기고, 아무도 손을 못쓰는 명혜사에 가서는 스님들을 뒤흔들어 놓았다. 거기에 에노키즈 만의 이름 개명에 당한 인물이 좀 많이 나왔다.
우부메 관련 인물인 구온지 요키치카의 등장은 간간히 분위기를 슬프게 만들었다. 우부메에서 언급된 복선을 마무리 짓기 위한 것도 있었지만, 사건 이후의 관계자가 어떻게 지내는지 나타내면서 사건은 끝났지만 당사자들에게는 아직 끝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 이런 식으로 전작의 등장인물이 재등장하는 것은 소설 속의 사건이 끝나면 관계자 역시 사건으로부터 멀어지고 다시는 나오지 않는 느낌을 없애고, 살아가다 우연히 다시 만날 수 있는 하나의 인물상을 나타낸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건도 토막살인이라던가, 해골이 넘쳐나는 전작들보다는 딱히 기괴한 느낌이 없었다. 배경이 사찰이고 승려가 많다보니 약간 경건하다던가, 살인사건 현장임에도 불구하고 명혜사라는 공간이 가지는 알 수없는 무거움이 있었다. 다만 스님들 밖에 없는 절에 숨어있는 살인자, 일명 쥐스님인 철서가 스님들 사이에 숨어 있는 것처럼 느껴지고, 자라지 않는 소녀로 불리는 아이의 출몰로 아무리 경건한 분위기라 해도 간담을 서늘하게 만든다.
명혜사라는 공간도 외진 곳에 존재해서 일명 밀폐된 공간이었지만 사건 관계자들과 스님들 사이의 단절감도 또 하나의 밀폐된 공간이었다. 겉으로는 아무 문제없어 보여도 사람관계에서의 밀폐가 집단간의 밀폐가 되면 그것도 밀폐된 공간을 이룬다는 생각이든다.
또 숨겨져 있던 오래된 사찰인 만큼 약간의 유물탐사 같은 구성도 있었다. 교고쿠도만 이해할 고서와 관련이 있고, 건축양식이라던가 종파와의 연관성도 있었다. 철서가 불교와 연관성이 큰 만큼 작가가 불교에 관한 거라면 뭐든지 다 채워 넣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주요 인물들이 스님들이라서 절에서 역할이 어떻게 나눠지고, 종파별로 다른점이 뭔지 알 수가 있었다. 보통 사람이 아닌 종교인이라는 점에서 인물들과 대화를 할 때 격언을 한다거나, 불교에서 나오는 말씀을 인용하는 등, 좀 어려운 말을 자주 하는 편이었다. 교고쿠도의 장광설 수준의 말이 짧고 굵게 나온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였는지 간간히 질질 끄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했다. 연쇄살인이 계속되는 상황에도 비정상적일 정도로 침착함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스님도 역시 사람인지라 갈수록 동요하는 이들이 조금씩 늘어났다. 명혜사에 있는 스님들을 보면서 스님이라면 당연할 것으로 생각되던 것이 일종의 편견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는 지금까지 불교의 겉면만 보고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신앙에서도 어쩔 수 없는 사람의 이기심이 존재한다는 것이 느껴졌다. 특히 속세를 멀리하는 불교에서는 물적인 이기심이 아니라, 득도라는 개념에서 나오는 특수한 이기심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상상도 못한 일이다. 한 사건으로 보였지만 사실은 다른 사건이었던가, 다른 사건으로 보였지만 사실은 한 사건이었던 전작의 구조와 비슷하게 이번에는 모든 사건이 명혜사로 집중됐다. 다만, 사건의 연계성과는 관련이 없고 장소로의 집합과 동시에 붕괴라는 느낌이다.
군중 속의 얼굴 [전자책] (0) | 2019.01.15 |
---|---|
죽고 싶어지면 전화해 (0) | 2019.01.15 |
토탈 호러 1 (0) | 2019.01.14 |
야미 (0) | 2019.01.14 |
사신의 그림자 (0) | 2019.01.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