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 브래드버리/폴라북스
영미 소설/미국 소설
★★★★★
삶은 앞으로 나가면서 무수히 많은 것들을 사라지게 만들고는 한다. 정해진 수순인 것, 한철인 것, 시대흐름인 것. 그 외의 여러 이유로 수 많은 것들은 없어졌다. 영원했으면 하는 순간은 누구에게나 있고 아쉬움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결국에는 변함없이 그 흔적들을 고스란히 간직한 쓸쓸함만 남는다. 만화 보노보노에서도 이것과 비슷한 내용이 있다. 어째서 재미있는 일은 끝나는 것일까. 어째서 재미있는 일은 계속될 수 없는 걸까. 어릴 때 많이 생각하던 것이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시기가 된 것일지도 모른다.
이 소설에 나오는 엘리엇 가족처럼 유령 혹은 흔히 몬스터라 불리는 존재가 가족으로 생활하는 스토리는 간간히 본 적 있다. 본질은 무서운 존재지만 가족이라는 구성을 넣으면서 친근한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생활방식을 알아가는 과정과 존재의 다름으로 인해 생기는 위기에 대한 걱정이 더해져 이 세상에 없을 특별한 가족상이라는 점이 참 재미있는 요소로 작용해 깊은 인상으로 기억하고 있다. 어릴 적, 내가 저런 가족과 함께 살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상상도 가끔 한 적이 있는데, 작중 주인공인 소년 티모시는 나의 상상이 나름대로 실현된 모습처럼 보였다.
다양한 가족들의 모습과 이들이 함께 모인 자리는 기묘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티모시가 느끼는 것처럼 즐겁게 보인다. 그리고 티모시와 마찬가지로 계속됐으면 하지만 책의 마지막이 다가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건 쓸쓸하게 끝이 난다. 이렇게 보면 안 좋은 의미로 보이지만 작중 곳곳에서 끝이 가지는 여러의미를 보면 생각이 달라질지도 모른다.
끝의 아쉬움만 생각하고 그 반대의 경우는 잘 생각해보지 않았다. 영원히 계속이란 의미와 그에 따른 불편함을 잘 몰랐을지도 모르겠다. 끝이 있어서 영원을 생각하는 것처럼, 영원이 있어서 끝을 생각할 수도 있었을 텐데 말이다. 죽음의 존재들이 끝을 말하는 것은 마치 우리가 영원을 말하는 것과 비슷하다. 아마도 서로가 반대되는 존재이니 염원하는 것도 반대에 해당되지 않나 싶다. 영원은 끝을 모르고, 끝은 영원을 모르니까. 앞에서 말한 보노보노의 질문에 대한 답도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순간, 좋은 날이라고 영원히 계속된다면 그 의미가 없어질지도 모른다. 하나의 자원이 고갈되어 없어지듯이 좋은 순간도 어느 순간 동력을 잃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아무리 오래된다고 해도 결국에는 그것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된다. 기억 속에 단 하나의 좋은 순간만 영원하다는 건, 그 만큼 텅 빈 부분이 많아지는 것이고 의미도 변질되고 만다. 엘리엇 가족 중, 미라인 할아버지의 기억 속에도 좋은 순간이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 쌓여 있다. 그 순간들은 모두 다른 기억이지만 서로가 그때의 느낌을 공유하며 하나의 좋은 기억으로 만들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영원과 끝 어느 하나가 반드시 좋다기 보다는 서로가 서로를 보완하는 관계라는 생각이다. 영원은 끝으로 사라지고, 끝은 곧 영원이 되어 오래 지속되는 것이다.
제목에도 있는 10월은 가을에 접어들어 낙엽이 지는 시기다. 거기에 연말, 정확하게 10월의 마지막 일인 31일에는 할로윈이 있다. 그 떠들석하고 즐거운 날이 지나면 11월, 곧 겨울이 다가오는 시기라 끝이 강하게 인식되는 감이 있다. 엘리엇 가족이 사는 저택도 이런 인상일지도 모르겠다. 끝에 존재하는 영원, 언제 끝나도 이상하지 않을 영원일지도.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