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고쿠 나츠히코/손안의책
일본소설
★★★★★
토막난 시체처럼 여러 개의 사건이 따로 노는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다. 보통 추리소설에서는 사건의 윤곽이 뚜렷하게 보이기 마련인데, 하나의 사건이 여러갈래로 찢겨진 것 같은 형태다. 그래서 범인의 정체가 궁금하기에 앞서 이게 어떤 사건인지부터 주목하게 된다.
사건은 한밤 중, 도쿄 무사시노 고가이네 전철역에서 여중생 유즈키 가나코가 열차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시작된다. 우연히 기차에 타고 있던 기바 형사는 목격자이자 가나코의 친구인 구스모토 요리코에게 사건 당시 상황에 대해서 물어보지만 요리코는 아무 것도 말하지 않아서 답답한 상황만 계속된다. 전철역 근처의 파출소에서 근무하는 후쿠모토의 도움으로 가나코가 실려간 병원에 함께간 기바와 요리코는 가나코의 가족 중, 오래전 은퇴한 여배우 유즈키 요코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며칠 뒤, 도쿄 전역에서 토막난 여자의 팔다리가 발견되는 사건이 연속으로 발생하자 세키구치와 3류 잡지 편집장 도리구치가 조사에 나서는데...
범죄자의 심리에 대한 고찰과 망량에 대한 견해는 그 동안 알거나 이해하고 있던 것과 다른점이 많았다. 특히 범죄자의 동기는 그저 비상식적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의견은 신비롭게 느껴진다. 종교, 점술, 영능력, 초능력의 차이를 설명한 것이 가장 흥미로웠다. 비슷해 보이는 부류라도 하나하나 짚어보면 전혀 다르다고 여겨질만한 차이점이 하나 정도는 있다. 복잡하다고 세세한 분류 없이 단순하게 뭉뚱그려 놓으면 오히려 그게 더 복잡한 것이 되는 걸지도 모르겠다.
전작인 <우부메의 여름>이 과거의 사연과 연관되어 세키구치 중심으로 내용이 진행됐다면, 이번 내용은 주로 기바 형사 중심으로 진행된다. 현실 주의자에 가까운 기바는 그 누구보다 사건에 대한 고뇌가 깊고 해결에 의지가 강하다. 그러나 특유의 폭주하는 성격이 문제를 일으킨다. 세키구치가 깊은 죄책감 때문에 정신이 붕괴될 뻔한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세키구치는 울증 때문에, 기바는 폭주하는 성격이 일상을 무너뜨릴 뻔한 것이다.
여기서 첫 등장하는 도리구치 모리히코는 사건해결에 상당한 도움이 되는 인물이다. 잡지 편집장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의 조사력은 탐정이라고 해도 될 정도다. 세키구치도 이해 못하는 교고쿠도의 장광설을 약간이라도 이해하는 것을 보면 단순한 인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정도다. 하지만 도쿄에서 요코하마까지 잘못 갈 정도로 심각한 길치라던가, 틀린 속담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면 주연인물들에 비하면 평범한 사람처럼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면 잔인하면서 안타까운 내용으로 보인다. 서로에게 의지하던 두 소녀의 비극, 가장의 무관심으로 만들어진 뒤틀린 아들, 사랑하는 이를 앞에 두고 이도저도 못하는 형사. 분명 사건이 일어나게 만든 인물과 범인은 구분되지만, 나는 어쩐지 거의 모든 인물들이 피해자이며 가해자라는 생각이 든다. 서로에게 피해를 주고, 서로가 범인일 수 밖에 없어 보이는 감정적인 부분이 많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신체적인 상해는 처벌되지만, 감정적인 상해는 처벌되지 않는다. 거기에 감정적인 상해는 보상도 받을 수 없어서 자기만의 보상을 위해서 신체적인 상해로 이어지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다.
제목에서 부터 언급된 상자는 사건이 진행되는 내내 끊임없이 등장한다. 단순히 물건을 담기 위한 일반적인 상자부터, 담기위한 것을 넘어서 담아지기 위한 광적인 것으로 변모한다. 우부메의 여름에서는 전쟁 이후의 파괴된 가족관을 나타냈다면, 망량의 상자는 사회상을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이 흉흉해서 사람들은 돈에 집착을 하게 되고,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민간종교에 의지하는 것을 보면 모두 심적으로나, 양적으로나 뭔가를 채워 넣으려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전쟁 이후의 일본 사회는 수많은 상자들로 가득차 고립된 분위기였을 것이다.
그런데 가나코와 요리코, 온바코님 교주 데라다 효에를 통해 볼 수 있었던 고립된 사회를 상징하는 상자 말고도 내용상에서 나타난 상자는 한 개가 더 있었다. 그 상자는 미마사카 근대의학 연구소라는 건물로 현실에 존재하고 있었고, 고립감 속에 더 광적인 것이 있었다. 그 광적인 것이란, 바로 과학이었다. 연구라는 목적으로 행해지는 비상식적인 행위. 기술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생기는 과학의 비윤리적인 면은 섬뜩했다. 광적인 과학의 모습은 과학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한 동시에, 전쟁 때 일본의 생체실험을 비판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고립된 사회는 과학 발전 이전에 만들 수 있었던 평범한 나무 상자라면, 과학의 광적인 모습은 과학의 발전으로 나타난 금속 상자일 것이다. 금속 상자를 보면서 나는 과학이 절대로 자연을 대체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그렇게 된다고 해도 엄청나게 끔찍하게 변모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