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 베르베르/열린책들
프랑스 소설
★★★★★
해가 지면 찾아오는 건 밤이오, 이때 규칙적으로 찾아오지만 바쁜 현대에서는 들쑥날쑥한지 오래된 것이 잠이다. 그냥 졸려서 자는 것이고, 내일을 위해 자는 것이고, 그냥 오래 눈 감고 있는 정도가 잠의 전부인 게 지금의 현실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덩달아 꿈 역시 부족해지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됐을 수도 있다. 잠 못드는 밤이 오래된 지금 우리에게 잠이란 무엇이며, 꿈이란 어떤 것일까?
의대생인 자크는 신경생리학자인 어머니, 카롤린으로 부터 꿈의 세계를 접하며 앞으로의 가능성을 생각하며 성장해왔다. 그런데, 새로운 수면 단계에 대한 실험을 하다 사고가 난 이후로 어머니 카롤린이 말도 없이 사라지고 마는데...
잠이 주제인 만큼 주인공인 자크가 자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냥 자는 모습 정도가 아니라 수면에 빠져드는 단계라든지, 꿈 속에 빠져드는 모습이 나타나서 정말 편안하게 잠든다는 느낌을 받는다. 아무런 걱정도 없이 편안함 그 자체라 이런 잠을 언제 자보았을지 생각이 많이 들 정도였다. 그 만큼 잠자는 동안에도 불안이 존재한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주로 잠을 잠수단계에 비유하는데, 물 속 잠수를 못하는 입장에서도 대략 어떤 느낌인지는 알 것 같기도 하다. 보통 편안해지는 느낌을 표현할 때 공중으로 떠오르는 분위기로 표현하는 걸 생각하면 소설 상에 나타난 잠의 단계는 정반대의 이미지에 해당되기도 한다. 아마도 잠자면서 편안해지는 느낌은 공중에 해당될지 몰라도, 잠이 드는 과정은 잠수처럼 들어가는 과정이 힘들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한계를 참으며 도전하는 잠수와 편안함을 위해 깊이의 한계를 넘어야 하는 잠.
어딘지 모르게 참 비슷하게 보인다.
잠이 드는 장면이 많은 만큼 현대인이 많이 겪는 불면에 대한 부분도 빠지지 않았다. 잠이 드는 부분이 편안함이 깔려 있었다면 불면에서는 흔히 많은 이들이 겪었을 법한 텁텁함이라던지, 불쾌한 분위기로 깔린다. 늘 잠을 편안히 자던 자크에게 일어난 불면이라 그런지 보통 사람보다 더 극단적으로 피폐하게 보이기도 하다. 또, 수면제가 잠이 들기는 해도 편안히 자는 것과는 완전 다른 느낌이라는 것까지도. 편안히 잘 때의 편안함보다는 강제성이 있기 때문인지 그냥 아무런 준비 없이 물 속으로 던져지는 느낌이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편안함이 나올 수가 없고, 꿈 역시 존재할 수 없는 없는 것이다.
처음에는 편안히 자는 것에 많은 생각을 하게 하다가 내용이 진행될 수록 꿈에 대한 점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꿈이 그렇개 많은 효능을 가지고 있고,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좋은 점이 많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꿈이 적어진 지금에서는 아직 낯설다는 생각이 앞섰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그렇게 자유로운 꿈이라면 자는 게 얼마나 편안한 것인지 궁금하기도 했다.
현실에서 벗어나 믿음이나 사실 같은 건 상관없이 있을 수 있는 곳.
그게 꿈이라면 지친 일상에서 편히 쉬고, 놀 수도 있는 환상적인 곳이다.
이런 곳을 누리지 못한다는 건 얼마나 큰 사회적 문제일까.
이제 꿈의 먼 미래까지 들여다보게 된다. 과연 자크는 잠과 꿈을 어떻게 발전시키게 될까...
댓글 영역